소소한 영화 리뷰 <시리어스 맨>(2009)


세상을 살아가며 자신에게 일어나는 여러 어려운 상황들을 우리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이 질문은 시리어스 맨이 관객들에게 던지는 주된 질문이다.


주인공 래리 고프닉(마이클 스털버그)의 아내 주디스는 어느날 래리에게 와서 이혼을 요구한다. 또한, 아내가 사랑에 빠진 남자는 다름아닌 래리와 친분이 있는 사이 애블맨이다. 아들은 시도때도없이 TV 안태나를 고쳐달라고 전화하고, 딸은 코 성형수술을 위해 상습적으로 래리의 지갑에서 돈을 훔친다. 동생 아서는 불건전한 바에 갔다가 경찰에 잡혀오기도 한다. 주인공의 강의를 듣는 한국 학생은 학점 F를 받는 것이 부당하다며 뇌물을 주려고 한다. 주인공은 테뉴어 여부를 기다리고 있지만, 커미티에 보내진 익명의 편지로 인해 불안해 한다. 이렇듯 주인공은 끊임없이 여러 어려운 상황들을 마주하게 된다1.


서두에서 제시한 질문에 대해 감독은 영화속 랍비를 통해서 본인들의 답변을 던져주는듯 하다. 주인공은 자신에게 일어나는 상황들 속에서 어떤 뜻을 찾기 위해 세명의 랍비를 찾아가는데, 두번째 랍비는 이렇게 말한다. “Who cares!” 누가 신경을 쓰냐고.

영화의 배경은 1967년 미국 미네소타주의 한 교외지역이며, 주인공 래리 고프닉과 그 주변 인물들은 모두 유대인이다. 이는 이 영화의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도 한 코엔 형제의 성장 배경과 동일하다. 즉, 시리어스 맨은 코엔 형제의 경험과 기억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래리 고프닉의 아들 대니가 학교를 오갈때 스쿨버스를 같이 타는 친구들의 이름은 코엔 형제의 어렸을 적 친구들의 이름을 딴 것이다(비하인드 스토리 확인). 이러한 영화의 배경을 생각해 보면 평소 코엔 형제가 유대인으로써 오랜 세월 가지던 의문에 대해 고찰한 내용들을 영화로 형상화 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영화가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나오는 난해한 스토리는 무엇일까? 외국의 어느 리뷰에 의하면, 이 짧은 스토리에서 부부가 저지르는 죄로 인해 먼 미래에 주인공 래리가 벌을 받는거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이는 조금은 엉뚱한 해석인 것 같다. 감독 코엔 형제는 이 스토리에는 숨겨진 의미가 없으며 단순히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 알맞은 분위기를 끌어내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2. 즉, 감독의 대답대로 앞선 스토리에서 나온 황당하고 이해할 수 없는 상황과 이 어두침침한 내용이 본 영화에서 래리에게 놓이는 상황들을 관객들이 잘 따라가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유쾌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씁쓸하고 여운이 남는 영화이다. 같은 감독의 <위대한 레보스키>(1998) 처럼 우스꽝스러운 캐릭터와 황당한 상황들이 특별히 매력적이다.

  1. 1이러한 내용은 여러 평론가(예, 로저 에버트)가 언급하듯 성경 욥기와 비슷한 부분이 있다. 유대인인 코엔 형제가 욥기에서 기본 내용을 가져왔을지도 모르겠다. ↩︎
  2. 2참조글 ↩︎


글이 유익하셨다면 위의 ♡ 공감 을 눌러 주세요 :)





17 어게인 영화 리뷰 [2009]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기본정보]

장르: 코미디, 드라마, 로맨스 (미국)

러닝타임: 102분

감동 : 버 스티어스 ( 최근작품 : 디스 민즈 워[2012] / 세인트 클라우드 [2010] )

출연: 잭 에프론(마이클 오도넬 17세역) , 레슬리 만(스칼렛 오도넬 성인역), 토머스 레넌(네드 골드), 매튜 페리(마이크 오도넬 성인역) 등.

 

17어게인 영화는 제목에서 추측할 수 있듯이

주인공이 어느날 갑자기 17세로 돌아가며 생기는 일들로 구성되어있다.

 

영화는 주인공 마이클 오도넬의 하이틴시절에서부터 시작한다.

촉망받는 농구선수였던 마이클이 중요한 농구 시합을 앞두고,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여자친구가 아이를 가졌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는데,

 그 순간에 그는  여자친구와 아이를 위해 자신의 꿈 (농구)을 포기하고

자신이 사랑하는 여자와 결혼을 선택하게 되는데서 영화는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정말 영화처럼 영원히 꿈같은 10대에 머물러 있을것 만 같았던 마이클은

어느 덪 나이를 먹고 두 아이이의 아빠가 되었다.

이런 그에게 현재 남아있는것은 골치아픈 회사생활과, 자신을 무시하는 두아이들, 그리고 자신으로 인해 역시 꿈을 잃고

억척스럽게만 변해버린 와이프가 있을 뿐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자신의 잃어버린 꿈(농구)에 대한 그리움으로 찾아간 모교에서

주인공 마이클의 인생을 바꿔줄 미스터리한 할아버지 청소부를 만나게 되는데.

 

 

그의 인생은 17세 꿈많던 하이틴 시절로 돌아가게 된다.

여기까지의 전개는 너무도 익숙한 느낌이다.

(과거로의 안내자로 할아버지가 등장하는것도 그렇고 말이다.)

 

 

 

 

 

하지만, 몸은 17세로 정신연령은 그대로 어른인 상태에서 마이클이 겪는

좌충우돌 스토리는 평범하지 않다.

 

 


 

자신의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에 자신도 학생으로써 함께 다니면서,

학생의 눈으로 함께 고민도 나누고 어른으로 성장하는 법에 대해 가르쳐 주는 모습이라던지



이혼절차를 밟고있는 자신의 부인에게 17세 마이클 오도넬의 모습으로 에전처럼 다가가는 모습은

웃음만 유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잔잔한 마음의 파도를 일으켜 준다.

 

 

왜냐하면,  이 드라마는 기본적으로

꿈이 무엇인지, 사랑이 무엇인지, 희생이 무엇있지

인생의 풀지못할 숙제 거리에 대해 계속 고민한 흔적이 보이기 때문이다.








영화에서 이 부분은 개인적으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이다.







이혼법정에서 자신을 마이클이라고 전혀 생각하지 못하고 있던 와이프에게

17세의 모습으로 그 동안 자신이 어떻게 당신을 선택하고

사랑했는지에 대해  증언하는 모습인데요.

그가 들고 읽었던 마이클 오도넬의 '편지' 라는 것 에는 정작 단어 몇개만이 써있었을뿐

그가  길게 읇었던 모든 추억은 모두 그의 기억속에 있었다는 것을 이야기 해주는 장면이었죠.





결국 주인공은 17년 전에도
















17년 후에도 같은 선택을 함으로써 

자신이 선택한 사랑을 지켰어요.














하지만 그가 선택하여 얻게된 사랑과 미래는
그가 '17 어게인' 이라는 경험을 갖기 전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었죠.

왜냐하면, 소중함이 무엇인지를 함께 얻었기 때문이예요.








17 어게인 영화를 통해서 인생을 비겁하지 않게 산 다는것이

얼마나 어렵고, 멋진 일인지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었어요.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의 미래와 안위를 걱정하며,

적당히 타협하는데 익숙해져 있죠,

 

남자 주인공 마이클을 보면서,

인생에 있어 가장 소중한것이 무었인지

너무도 당연하게 말하지만, 당연히 지키기 어려운 인생을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한번쯤  필요한 영화였어요.

 

- 17 어게인 영화 리뷰 [2009]  끝 -

 

평점  ★★★☆☆

마더 (2009) ★★★


봉준호감독의 2009년 신작. 울산롯데시네마에서 봤는데 내 나이 ±10살은 아무도 없더라 ㅜㅜ 아저씨 아줌마들 사이에 껴서 봤는데 중간중간 수군거리고(소근소근이 아니다 훨씬 큰 수군수군) 핸드폰 만지작 거리는거 신경쓰여서 혼났다. 죄다 부모님뻘이라 뭐라 하기도 뭐하고 괜히 말걸었다가 쳐발릴거 같기도 하고 해서 씁쓸해하면서 봤다. 아니 추리를 하면서 봐야하는 영화인 것이야 맞지만 그렇다고 그걸 크게 얘기하면 쓰나. 한두명이 그런 것도 아니고 별에별 추측을 다 들으면서 봤다. 아 니미 영화좀 보자구요. 낮시간이라 삼산동에 별로 사람이 없는 탓일지도 모르겠다. 추가로 비상구 불빛도 강렬하게 쎄서 꽤나 신경쓰였다. 좀 가리거나 약하게 해놓으면 안되나? 영화는 굉장히 톤이 어두운데 옆에서 더 밝은 초록불빛이 두개나 있으면 어쩌자는겅미. 그래도 영화 자체는 봐줄만했다.

(여기부터 스포일러 만땅 안 봤는데 볼꺼면 스크롤 내리지 말아요.)

내가 보기엔 원빈은 바보가 아니다. 딴 건 모르겠고 5살때의 일을 기억해냈다는 이유 그것 하나만으로 근거는 충분하다고 본다. 아니 누가 5살때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가. 인간의 기억의 용량이야 무한하대지만 어릴적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은 그것을 주기적으로 상기시켜서 곱씹고 있어야 한다. 아니 뭐 머리가 워낙에 비상해서 본것을 까먹지 않는 사진기억을 가지고 있지 않는 한에야 꽤나 힘들텐데 그걸 기억하고 있다는 사실은 최소한 바보가 아니라는 사실을 입증함과 동시에 꾸준히 이걸 생각하며 살아왔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원빈의 입장에서야 복수극이지만 마더의 입장에서는 잔혹한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평생을 아들만을 모시며 살아왔는데...

좀 뜬금없는 생각이지만 저건 치료가 안될까? 정신병원에 보내야 된다 이런건 아니지만 심리치료 이런걸로 가슴속의 앙금을 풀어낼수 있지 않을까 싶다. 뭐 제일 좋은건 나이들면서 철들어서 어머니를 용서하는 것이겠지만 자기를 죽이려고 했던 사람을 어떻게 용서할 수 있을까 싶기도 하고. 내가 변태같아서 싫어하는 프로이드가 졸라 좋아할 케이스가 아닐까.

씁쓸하다. 별점 ★★★☆☆

덧글


+ Recent posts